정책과 웰빙라이프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으로 바라본 부동산 정책 방향
행정24
2025. 7. 3. 14:29
728x90
반응형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본 부동산 정책 방향
2025년 7월 3일,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30일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부동산 정책의 방향과 의지를 강하게 밝혔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단기적인 대출규제를 넘어 중장기적 공급 확대와 투기억제, 금융시장 유도 전략이 강조되었습니다.

2025.7.3. 이재명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1. 대출규제는 시작에 불과
- "이번 대출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는 발언을 통해 향후 더 강력한 수요억제책이 나올 수 있음을 시사
- 공급과 수요를 동시에 조절하는 전방위 부동산 대책이 준비되어 있음
2. 공급 확대는 속도가 관건
가. 기존 신도시 계획의 조기 실행
- 기존에 계획돼 있던 신도시 공급 계획이 아직 본격적으로 시행되지 않은 점을 지적
- "계획된 것은 그대로 하되 속도를 빠르게 하겠다"며 조기 착공·공급 추진 강조
나. 기존 택지의 재활용 가능성
- 신규 택지 외에도 기존 택지를 재활용하여 도심 내 공급 확대 추진
- 속도감 있는 공급 정책으로 시장 불안심리 차단
3. 수요억제는 더 강하게
가. 대출 외의 다양한 수요 억제책 존재
- 대출규제 외에도 아직 공개되지 않은 여러 수요 억제 방안이 준비 중
- 투기적 수요를 겨냥한 근본적 제도 개선 가능성 내비침
나. 투기수요는 시장 교란 요소
- "투기적 수요가 부동산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며 단호한 태도
- 국민의 실거주 목적 주택 수요와 투기수요를 명확히 분리해 대응할 것으로 전망
4. 자본의 흐름, 부동산 → 금융시장으로
- 부동산 투자 중심의 자본 흐름을 금융시장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정책 의지 표명
- "이제는 부동산보다 금융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낫다"는 메시지로
- 투자 방향 전환을 유도하려는 시도
5. 지방균형발전과 수도권 집중 해소
- 지방소멸 방지와 수도권 인구 과밀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
- 단기 정책이 아닌 중장기적 균형발전 기조를 바탕으로 국토의 효율적 재편 추진 예정

마무리하며,
이재명 대통령의 기자회견은 단순한 규제 발표가 아닌, 부동산 시장 전체를 조율하려는 큰 방향성을 담고 있습니다.
시장 참여자라면 향후 정부의 공급 정책, 금융 흐름 변화, 규제 수위 조정 등을 종합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 부동산 정책 관련 유망 투자 분야와 관련주식에 대하여 분석/정리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